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기업뉴스

한국다이이찌산쿄㈜-㈜비보존제약,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 공동 프로모션 계약 체결

2025-09-16

 

한국다이이찌산쿄㈜-㈜비보존제약비마약성 진통제어나프라®공동 프로모션 계약 체결


-     계열 최초(first-in-class) 국산 신약 어나프라®, 중등도 이상 수술 통증에 효과 입증1,2

-     10 국내 시판 시작, 양사 협력 통해 의료현장 접근성 높여나갈

 

[2025 9 16(화요일)]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대표이사 사장 김정태, 이하 한국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비보존제약 (대표이사 장부환, 이하 비보존제약) 지난 15 비마약성 진통제어나프라®(성분명 오피란제린염산염)’ 국내 공동 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한국다이이찌산쿄는 비보존제약이 개발한 어나프라® 대한 국내 유통 판촉을 공동으로 담당하게 된다. 한국다이이찌산쿄는 비보존제약으로부터 완제품 형태의 어나프라® 공급받아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유통과 영업 마케팅 영역에서 역할을 분담한다.

어나프라® 지난해 12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8번째 국산 신약으로 허가 받은[i] 계열 최초(first-in-class) 비마약성 통증치료제로,[ii]성인에서 수술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을 위한 단기요법으로 승인되었다.1 글라이신 수송체 2(GlyT2) 세로토닌 수용체 2A(5-HT2A) 동시에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으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통증 전달을 차단한다.2

복강경 대장 절제술 환자 28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3 임상 결과, 어나프라® 투약 12시간 동안의 통증강도 차이의 (SPID, sum of pain intensity difference) 위약군 대비 35% 유의하게 개선시켰으며(p=0.0047), 자가통증조절장치(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사용 요청은 60.2%,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은 30.8%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2 전반적으로 양호한 내약성 위약군과 유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이며, 비마약성 진통제임에도 중등도 이상의 수술 통증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다.2

한국다이이찌산쿄는 마취통증 분야에서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전국 단위의 전문 영업 조직을 갖추고 있다. 구역 구토 예방제나제아®(라모세트론)’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탈리제®(미로가발린)’ 수술 전후 환자 관리에 핵심적인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통해 영업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풍부한 마케팅 역량을 어나프라® 도입을 통해 한층 강화하고, 전략적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한국다이이찌산쿄 김정태 대표이사는어나프라® 기존 통증 치료 옵션의 제한점을 보완할 있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이번 비보존제약과의 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치료제의 국내 도입에 함께 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 한국다이이찌산쿄가 보유한 마취통〮증 분야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통증 치료 환경을 구축할 있도록 의료진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 전했다.

비보존제약 장부환 대표이사는한국다이이찌산쿄가 보유한 탄탄한 국내 ·의원 유통망을 기반으로 어나프라®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특히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비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환자들의 삶의 향상을 위해 빠르게 어나프라® 공급하도록 노력하겠다 말했다.

어나프라® 오는 10 국내 시장에 본격 도입될 예정이며, 양사는 상호 협력을 통해 의료 현장 에서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지속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i]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식약처, 국내개발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허가’. 2024 12 12 배포

[ii] Lee, Ho-Jin et al. “Reduction of postoperative pain and opioid consumption by VVZ-149, first-in-class analgesic molecule: A confirmatory phase 3 trial of laparoscopic colectom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vol. 101 (2025): 111729. doi:10.1016/j.jclinane.2024.111729